일상

법 - 21: 바보처럼 행동하여 바보를 잡아라[덜 똑똑해 보이는 전략]

멜번 갤럭시 2025. 4. 21. 10:01
728x90

들어가며

세상은 지능, 지식, 그리고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는 것에 집착합니다. 하지만 로버트 그린(Robert Greene)은 그의 저서 『권력의 48법칙』(The 48 Laws of Power)에서 색다른 관점을 제시합니다. 법칙 21: 바보처럼 행동하여 바보를 잡아라 – 상대보다 덜 똑똑해 보이라(Play a Sucker to Catch a Sucker – Seem Dumber Than Your Mark)입니다.

성공을 추구하는 젊은 세대에게 이 법칙은 중요한 전략을 알려줍니다. 때로는 자신의 지능을 과시하기보다 덜 똑똑해 보이는 것이 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바보처럼 행동하면 상대의 경계를 낮출 수 있고, 그들의 진짜 속마음을 끌어내며, 결정적인 순간에 그들을 압도할 수 있습니다.

이제 법칙 21의 핵심 원리를 살펴보고, 젊은 사람들이 이를 활용하여 인생의 도전과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이 법칙이 중요한 이유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똑똑하고 능력 있으며 인상적인 존재로 보이길 원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지능을 과시하면:

  • 상대방이 방어적으로 변하고 본심을 숨깁니다.
  • 경쟁자들이 당신을 위협으로 여기고 방해하려 합니다.
  • 당신의 행동이 예측 가능해져서 타인이 쉽게 조종할 수 있습니다.

반면, 바보처럼 행동하면:

  • 상대가 당신을 과소평가하게 됩니다.
  • 상대가 방심하며 중요한 정보를 흘리게 됩니다.
  • 결정적인 순간에 반격할 기회를 얻게 됩니다.

이 법칙은 실제로 바보가 되라는 것이 아닙니다. 전략적으로 자신을 낮춰 상대를 조종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https://spinify.com/blog/the-48-laws-of-power-summary-best-quotes/


2. 바보처럼 행동하는 기술(The Art of Playing Dumb)

A. 사람들은 자신이 더 똑똑하다고 느끼길 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더 똑똑하고, 더 많이 알고 있으며, 더 우월하다고 믿고 싶어 합니다.

만약 당신이 지나치게 똑똑해 보인다면, 사람들은 방어적으로 변합니다. 하지만 당신이 덜 똑똑해 보이면, 상대는 경계를 풀고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게 됩니다.

예시:
비즈니스 협상에서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는 듯이 행동하는 대신, 일부러 “어떤 점에서 더 자세히 설명해 줄 수 있나요?”라고 물어보세요. 상대방이 당신에게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면서 자신의 진짜 속내를 드러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B. 바보가 가장 강한 자리를 차지한다

역사 속에서 ‘바보’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가장 현명했던 사람들이 많습니다. 궁정의 광대는 왕을 즐겁게 하면서 동시에 중요한 조언을 했고, 수사관들은 바보처럼 행동하며 진실을 파헤쳤습니다.

예시:
포커 게임에서 가장 위험한 상대는 초보자인 척하는 사람입니다. 경험 많은 플레이어들은 이런 상대를 쉽게 이길 수 있다고 착각하고 방심하지만, 결국 중요한 순간에 당하게 됩니다.

C. 경쟁자와 적을 무장 해제시키는 방법

사람들이 당신을 과소평가하면 실수를 하게 됩니다. 그들은 당신을 위협적인 존재로 여기지 않고, 중요한 정보를 당신에게 흘리거나, 당신을 전략에서 배제합니다. 이때가 바로 반격할 기회입니다.

예시:
직장에서는 지나치게 야망이 드러나는 신입사원이 동료들에게 견제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신을 “배우고 싶다”는 자세로 겸손하게 보이면, 오히려 선배들에게 중요한 정보와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절한 순간에 이를 활용하여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https://eternalisedofficial.com/2023/05/25/the-psychology-of-the-fool/


3. 현실에서 적용하는 방법(How to Apply Law 21)

A. 비즈니스 및 직장 생활에서

  • 모든 능력을 한꺼번에 드러내지 마세요. 사람들이 당신을 가르치려 들도록 유도하세요.
  • 전략적으로 “어리숙한 질문”을 하세요. 상대가 정보를 더 많이 공개하도록 만듭니다.
  • 상대방의 자존심을 세워 주세요. 협상에서 상대가 “이겼다”는 기분이 들게 하면, 결국 더 좋은 조건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B. 인간관계 및 연애에서

  • 말을 적게 하고, 더 많이 듣는 사람이 되세요. 상대는 당신이 별로 모른다고 생각하고 속마음을 쉽게 드러냅니다.
  • 자신을 조금 낮춰 보이세요. 사람들이 당신에게 도움을 주려 하면서 관계가 더 깊어질 수 있습니다.
  • 상대의 진짜 의도를 파악하세요. 당신이 무심한 척하면, 상대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더 쉽게 표현하게 됩니다.

C. 경쟁적인 환경에서

  • 기대치를 낮추세요. 사람들은 당신이 특별한 능력이 없다고 생각할 때, 당신을 덜 경계합니다.
  • 예측 불가능한 사람이 되세요. 모든 전략을 미리 공개하지 않으면, 상대는 당신을 조종하기 어렵습니다.
  • 불필요한 경쟁을 피하세요. 경쟁자로 보이지 않으면 상대가 굳이 당신을 방해하려 들지 않습니다.

 

◈ 21 PLAY A SUCKER TO CATCH A SUCKER -

    https://www.youtube.com/watch?v=C_Al45BSoZ8 


4. 법칙 21에 대한 오해(Common Misconceptions)

A. "항상 바보처럼 행동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이 전략은 필요할 때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항상 어리숙한 척하면, 진짜 무능한 사람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B. "사람들이 나를 무시하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 전략의 목표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대를 방심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C. "이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나요?"

이 법칙은 남을 속이거나 해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능력을 전략적으로 숨기고, 상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5. 역사 및 현대 사례: 법칙 21의 실제 적용 사례(Historical and Modern Examples)

A. 아인슈타인 – ‘바보’처럼 보였던 천재

아인슈타인은 종종 어리숙하고 장난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이는 그가 방해받지 않고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었습니다.

B. 스티브 잡스 – 협상에서 ‘모르는 척’하기

잡스는 종종 협상에서 일부러 이해하지 못하는 듯 행동하며, 상대가 더 많은 정보를 말하게 유도했습니다. 그러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협상의 판을 뒤집었습니다.

C. 트로이 목마 – 전쟁에서의 바보 전략

그리스 군대는 트로이에게 큰 나무로 된 말을 ‘선물’로 주었습니다. 트로이 사람들은 그 속에 군대가 숨어 있을 거라 생각하지 못하고 경계를 풀었고, 결국 그들은 그리스 군대에 의해 무너졌습니다.

▣ The Trojan War in Classical Ancient Greek Literature - https://en.topwar.ru/211709-ne-tolko-gomer-trojanskaja-vojna-v-proizvedenijah-klassicheskoj-drevnegrecheskoj-literatury.html 

 

Not only Homer. The Trojan War in Classical Ancient Greek Literature

The Trojan Horse in the painting by Giovanni Domenico Tiepolo In the previous article, a little was said about the personality of Homer and his famous poems. But, as we have already found out, the Iliad is just a story about a quarrel between Achilles and

en.topwar.ru


마치면서

젊은 세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법칙 21: 바보처럼 행동하여 바보를 잡아라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이 법칙을 적용하면:

  • 상대방의 경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중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 경쟁을 줄이고, 결정적인 순간에 이길 수 있습니다.

지능이란 단순히 아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때로는 어리숙한 척하면서 정보를 얻고, 필요한 순간에 움직이세요.

기억하세요: 방 안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은, 가장 덜 똑똑해 보이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