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icult"와 "hard"는 둘 다 한국어로 "어렵다" 또는 "힘들다"로 번역될 수 있는 영어 단어지만, 의미와 사용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의미와 뉘앙스를 예문과 연습문제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Difficult"의 의미와 사용
의미: "difficult"는 주로 어떤 일이 복잡하거나 이해하기 어렵고, 해결하거나 수행하는 데 많은 노력(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정신적 또는 기술적 난이도에 초점을 맞춘 단어로, 감정적인 힘듦보다는 객관적인 어려움을 강조합니다.
뉘앙스: 좀 더 공식적이거나 격식 있는 표현으로 들릴 수 있으며, 주로 학문적이거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문:
A. This math problem is very difficult.
(이 수학 문제는 매우 어렵다.)
→ 여기서 "difficult"는 문제 자체가 복잡하고 풀기 위해 사고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B. Learning a new language can be difficult for beginners.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은 초보자에게 어려울 수 있다.)
→ 언어를 배우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나타냅니다.
C. It’s difficult to understand his explanation.
(그의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
→ 설명이 명확하지 않거나 복잡해서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2. "Hard"의 의미와 사용
의미: "hard"는 어떤 일이 힘들거나, 육체적/정신적으로 부담이 크고, 때로는 감정적으로도 힘든 상황을 나타냅니다. "difficult"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며, 단순히 복잡함뿐 아니라 힘든 느낌이나 노력의 강도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뉘앙스: "hard"는 좀 더 일상적이고 감정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으며, "difficult"보다 덜 공식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또한 물리적인 강도나 단단함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예문:
A. This box is hard to lift.
(이 상자를 들기 힘들다.)
→ 여기서 "hard"는 물리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B. It’s hard to say goodbye to my friends.
(친구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는 것은 힘들다.)
→ 감정적으로 부담스럽고 어려운 상황을 나타냅니다.
C. Working all night is hard for me.
(밤새 일하는 것은 나에게 힘들다.)
→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모두 포함한 힘든 느낌을 표현합니다.

3. "Difficult"와 "Hard"의 주요 차이점
구분 | Difficult | Hard |
초점 | 복잡성, 지식(기술)적 난이도 | 노력, 부담, 감정적/육체적 힘듦 |
사용 맥락 | 주로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상황 | 일상적이고 감정적인 상황 포함 |
물리적 의미 | 거의 사용되지 않음 | 단단함(hard rock)이나 노력 포함 |
A. 비교 예문
The test was difficult.
(그 시험은 어려웠다.)
→ 시험 문제가 복잡하고 풀기 힘들었다는 뜻.
The test was hard.
(그 시험은 힘들었다.)
→ 시험 자체가 피곤하고 부담스러웠다는 느낌을 포함할 수 있음.
B. 비교 예문
It’s difficult to solve this puzzle.
(이 퍼즐을 푸는 것은 어렵다.)
→ 퍼즐이 복잡해서 머리를 써야 한다는 점 강조.
It’s hard to solve this puzzle.
(이 퍼즐을 푸는 것은 힘들다.)
→ 퍼즐을 푸는 데 노력과 인내가 필요하다는 느낌 포함.
◈ 'Hard' 와 'Difficult' 의 차이 -
https://www.youtube.com/watch?v=mF0mPnXGPk0
4. 연습 문제
A. This book is ( difficult ) to read because it uses very old language.
☞ 괄호 안을 마우스를 누르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정답이 보입니다.(이후 동일함)
설명: "difficult"가 더 적합합니다. 여기서는 오래된 언어 때문에 책의 내용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hard"도 가능하지만, 감정적/육체적 힘듦보다는 객관적 난이도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difficult"가 자연스럽습니다.
B. It’s ( hard ) to wake up early on weekends after a long week.
설명: "hard"가 더 적합합니다. 긴 한 주를 보낸 후의 피로감과 일찍 일어나는 데 드는 육체적/정신적 노력을 나타내며, 감정적인 부담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difficult"는 이 맥락에서 약간 어색할 수 있어요.
C. Solving this science problem is ( difficult ) without a calculator.
설명: "difficult"가 더 적합합니다. 계산기 없이 문제를 푸는 것이 복잡하고 기술적인 난이도를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hard"도 사용할 수 있지만, 노력 자체보다는 문제의 복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difficult"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D. Running a marathon is ( hard ) for most people.
이유: "hard"가 적합합니다. 마라톤은 육체적 노력과 인내가 많이 필요한 활동으로, 힘들고 부담스러운 느낌을 강조합니다. "difficult"는 주로 기술적 난이도를 나타내므로 이 문맥에서는 덜 어울립니다.
E. It’s ( difficult ) to decide which college to attend.
이유: "difficult"가 적합합니다. 대학 선택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결정 과정이라 객관적 난이도를 나타냅니다. "hard"도 가능하지만, 감정적 부담보다는 결정의 복잡함에 초점이 맞춰져 "difficult"가 더 적절해요.
F. The table is made of ( hard ) wood that doesn’t break easily.
이유: "hard"만 가능합니다. 여기서 "hard"는 물리적 단단함을 의미하며, "difficult"는 물체의 특성을 묘사할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G. Studying for exams is ( difficult ) because there are so many topics to cover.
설명: "difficult"를 사용해 시험공부가 복잡하고 많은 양을 다뤄야 하는 난이도를 강조했습니다.
H. Saying no to my best friend is ( hard ) because I don’t want to hurt their feelings.
설명: "hard"를 사용해 감정적 부담과 친구와의 관계에서 오는 힘든 느낌을 표현했습니다.
5. 추가 팁
"difficult"와 "hard"는 문맥에 따라 교체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위 답변처럼 상황에 맞는 뉘앙스를 고려하면 더 자연스러운 영어를 구사할 수 있어요.
물리적 특성(단단함 등)을 나타낼 때는 "hard"만 사용된다는 점도 기억하세요!
'호주 영어 > Gramm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glish-Grammar-15] "should", "must"와 "have to"의 의미, 차이점 그리고 명언과 속담 (11) | 2024.12.27 |
---|---|
[생활 영어-08]감정(Emotions)이 들어간 구동사의 의미와 대화 예시문 (8) | 2024.12.06 |
[English-Grammar-14]부가 의문문(Tag Questions)이란? (14) | 2024.11.28 |
[English-Grammar-13] "all ready"와 “already”의 의미와 차이점은? (20) | 2024.11.24 |
[How to Read English News Articles]영어 신문 헤드라인 이해하기 팁(Grammar Tips for Understanding English News) (10) | 2024.08.28 |